영남매일 PDF 지면보기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최근 김해종합뉴스
행복1%나눔재단 희망캠페인
함께해요 나눔운동
時도 아닌 것이
행복밥집
TV 방송 영상
커뮤니티
다시보는 부끄러운 김해 현장
그래도 브리핑은 '마이웨이'
상태바
그래도 브리핑은 '마이웨이'
  • 조유식 기자
  • 승인 2007.11.03 22:42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브리핑에 참석하는 기자들이 없다는데 국민들이 언론을 통해 상세한 정책 내용을 접하는 데는 별 어려움이나 불편이 없네요."

일부 부처 출입기자들이 합동브리핑센터에서 실시되는 정부 브리핑에 참석하지 않는데도 국민의 알 권리에 아무런 장애가 없는 상황은 우리나라의 정책정보 유통·전달 시스템이 얼마나 달라졌으며 언론의 취재지원 시스템도 당연히 달라져야 한다는 점을 역설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물론 기자들이 자신이 속한 언론사 독자들에게 보다 충실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열심히 취재하기 때문이겠지만 최근의 상황은 과연 취재와 브리핑이 기자(언론)를 위한 것인지 국민을 위한 것인지 새삼 곰곰히 생각하게 한다.

책임있는 정부 당국자가 단 1명의 기자에게만 브리핑을 해도 다른 100개 언론사가 브리핑 내용을 보도하고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정부가 제공하는 보도자료 서비스가 있고 수많은 인터넷 언론과 전문 매체들이 실시간으로 또는 분야별로 정보를 제공하고 부처별 홈페이지는 물론 e-브리핑이라는 첨단 전자브리핑이 정부의 자료와 브리핑 내용  그리고 질의응답을 원문 그대로 상세하게 전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기성 언론이 참석하지 않는 ‘빈 방 브리핑’(조선일보의 표현)을 해도 국민들의 알권리에 아무런 장애가 없다. 거꾸로 말해 지금의 상황은 그동안 부처별 브리핑룸과 기사송고실이 얼마나 불필요한 공간 이었는지 그 허상을 역설적으로 증명해 보이고 있다. 

정보 있는 곳에 기자가 가기 마련이고 독자들에게 필요한 정보 유용한 정보라면 어떤 방식으로든 보도되는 것이 미디어의 기본 원리이기 때문이다. 꼭 메이저 언론사가 브리핑에 참석해야만 그럴싸한 브리핑이 되는 것도 아니며 ‘빈방 브리핑’인지 ‘꽉찬 브리핑’인지는 국민들에게 전혀 중요하지 않다.

물론 하루 빨리 합동브리핑센터 시스템이 정착돼 모든 부처의 브리핑에 더 많은 기자들이 참석하고 치열한 질의응답과 취재를 통해 보다 알찬 정보들이 국민에게 전달된다면 더 좋을 것이다.

김정기 교육인적자원부 차관보가 30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별관 합동브리핑센터에서 법학전문대학원 인가 대학을 결정하게 될 심사기준을 발표하고 있다. 이날 조선일보는 자의로 브리핑에 참석하지 않고 정부가 언론의 취재활동을 막은 것처럼 왜곡보도했다.


31일 오전 정부합동브리핑센터에서 열린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의 정례브리핑에는 50여명의 내외신 기자들이 참석했다. 

정부 합동브리핑센터에서 실시되는 브리핑에 참석하지 않는 기자들은 엉뚱하게도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서라는 명분을 가장 앞세운다. 그러나 이는 그들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되레 국민 알권리를 외면하는 것은 아닐까.

31일 조선일보는 교육부 차관보가 ‘빈 방 브리핑’을 실시하고 인터뷰는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우선 조선일보 보도와 달리 이날 교육부 브리핑에는 한겨레신문과 한국정책방송 등의 기자들이 참석해 활발한 질의를 하며 취재했다.

교육부 차관보가 인터뷰를 거부한 것은 당연하다. 정부 브리핑은 공직자가 공식적으로 기자들과 대면해 취재에 응하는 자리다. 그런데 친절하고 충분하게 제공되는 자리에는 참석하지 않고 문 밖에 기다리고 있다가 별도의 브리핑이나 인터뷰를 요구하는 것은 알권리를 위해서가 아니라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무력화시키려는 의도일 뿐이다.

정부는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도입하면서 대면 취재의 경우 사전 약속을 전제로 한다는 원칙을 밝힌 바 있고, 대부분 기자들도 이에 대해서는 공감을 표시했다. 브리핑을 사전 약속이라고 한다면, 이날 기자들의 요구는 임의적이고 자의적인 취재 방식이다.

다시 말해 인터뷰 요청을 거부한 것이 아니라, 기자들이 브리핑을 거부한 것이다. 정부가 기자들의 뜻과 요구대로 움직이지 않는다고 마치 취재활동을 막는 것처럼 호도해선 안 된다

조선일보는 또 기자수첩에서 “‘들으려면 듣고 말려면 말라’는 식의 브리핑은 요즘 관가에서 흔히 볼 수 있다”며 “기자 없는 브리핑을 강행하는 것은 국민들에게 정책을 설명해야 할 공무원의 자세는 아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기자수첩에도 언급됐듯 전문지 기자들과 다른 언론사 기자들은 브리핑에 참석하고 있고, 온라인상에서 브리핑 화면과 속기록을 제공하는 e브리핑을 통해 내용이 전달되고 있다. 정부로서는 적극적으로 브리핑을 시행하는 것이 당연한 책무다.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의 국무회의 브리핑이 30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별관 합동브리핑센터 기사송고실 앞에 설치된 모니터에서 전자브리핑으로 중계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정부가 합동브리핑센터로 브리핑룸을 이전한 것은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달라진 언론환경과 다원화된 시장 시스템에 맞춰 정보제공의 물리적 공간을 이동한 것일 뿐, 통제나 취재 제한의 의도는 전혀 없다. 이는 정부의 정당한 제도 변화이자 지원 시스템의 발전이며 행정권의 일환이다. 이조차 인정치 않겠다는 것은 기득권 언론의 특권의식에 불과하다. 

이미 사전 약속만 하면 얼마든지 책임있는 공무원을 직접 만나 취재할 수 있고, 이 때 홍보담당 부서를 경유하는 조항은 없앴으며, 합동브리핑센터 출입증만 있으면 별도 절차 없이 청사 방문증을 교환해 주도록 했다. 공무원이 취재에 의무적으로 응대해야 한다는 원칙 역시 총리 훈령으로 명문화된다. 한결같이 취재 지원을 보다 합리화하고 정상화한 시스템일 뿐이다.

엄밀히 말해 정부의 브리핑은 정책 고객인 국민을 위한 것이지 기자 개인을 위한 것이 아니다. 정부가 제공하는 브리핑에 참석할 것인가, 하지 않을 것인가 역시 언론사의 자유다. 1명의 기자가 참석하든지 100명의 기자가 참석하든지 국민을 상대하는 정부의 브리핑은 앞으로도 계속된다. ‘빈방 브리핑’을 해도 화면 뒤에서는 국민이 듣고 있고  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진호 2007-11-05 11:02:08
저는 조선일보를 주로 보는 독자입니다. 그래서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이 기자의 취재를 막아 국민의 귀와 눈을 막는 정책으로 알고 있습니다. 조선일보에서는 계속해서 그렇게 보도해 왔어니까요. 그런데 이 기사가 새로운 사실을 알게 하네요. 조선일보에서 보도한대로만이 아니라는 것을. 언론의 역활이 중요합니다. 정부가 국민의 알 권리의 장애가 될 수도 있지만 언론도 국민의 눈과 귀를 멀게 할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