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매일 PDF 지면보기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최근 김해종합뉴스
행복1%나눔재단 희망캠페인
함께해요 나눔운동
時도 아닌 것이
행복밥집
TV 방송 영상
커뮤니티
다시보는 부끄러운 김해 현장
김해 양동산성서 6~7세기 생활목기 출토
상태바
김해 양동산성서 6~7세기 생활목기 출토
  • 조민규 기자
  • 승인 2018.07.03 1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길이 15.5m, 너비 22.8m, 최대깊이 3.4m인 평면 직사각형의 집수지 확인
▲ 출토된 토기 사발.

김해 양동산성 집수지에서 6세기후반부터 7세기대에 해당하는 유물들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영남지역 집수지 중 최대급에 해당하는 규모 길이 15.5m, 너비 22.8m, 최대깊이 3.4m인 평면 직사각형의 집수지가 확인된 것이다. 

집수지는 산성 등에서 물을 확보하기 위해 만든 못의 구조이다.

이번 학술발굴조사는 경상남도 기념물 제91호인 양동산성의 축조시기를 규명하고 이와 더불어 집수지(산성 등에서 물을 확보하기 위해 만든 못)의 구조를 밝히고자 했던 것.  

양동산성의 집수지는 금관가야가 멸망한 532년 이후에 만들어졌고 산성의 축조시기 역시 집수지의 시기와 동일할 것으로 조사단은 판단했다.

하지만 양동산성 내 집수지와 시기가 거의 동일한 부산의 배산성 내 집수지의 평면형태가 원형인 점에서 차이가 난다.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 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참가한 자문위원들은 의견을 모았다.

집수지 내부에서는 일상생활용 토기편들이 다량으로 조사되었고 보존상태가 매우 좋은 철화살촉 2점과 철도끼 1점이 출토되었다.

이 외에 김해의 매장문화재들 중 출토예가 매우 적은 목간(붓 글씨가 남아 있는 나무조각)과 바가지, 국자, 소쿠리 등 생활목기 및 짚신이 출토되었다.

특히 목간은 3점이 출토되었는데 이중 1점은 양동산성으로 운송한 곡물 꾸러미에 부착된 짐꼬리표로 확인되었다.

이 짐꼬리표에 적혀 있는 글자의 기재방식이 ‘마을이름+(사람이름)+곡물이름’의 순으로 적은 함안 성산산성 부엽층에서 출토한 목간의 기재방식과 거의 흡사하다.

성산산성 목간에 적혀 있는 '栗村'이라는 마을이름이 양동산성 목간에도 적혀 있다.

따라서 두 지역의 목간을 비교 연구하면 함안과 김해, 나아가 신라와 김해와의 관계 등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보다 정밀한 판독을 위해 추가로 적외선 촬영 등을 시행하고 학계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양동산성 목간의 정확한 성격을 규명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또 "이 유적을 가야 멸망 이후 김해를 식읍으로 받은 구형왕과 신라와의 정치적 이해관계와 당시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보고 추가 발굴과 국가 사적 승격 신청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목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