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매일 PDF 지면보기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최근 김해종합뉴스
행복1%나눔재단 희망캠페인
함께해요 나눔운동
만평 구돌이선생
時도 아닌 것이
행복밥집
TV 방송 영상
커뮤니티
다시보는 부끄러운 김해 현장
나경원 불출마…羅 지지표에 김기현·안철수 '승패' 달려
상태바
나경원 불출마…羅 지지표에 김기현·안철수 '승패' 달려
  • 미디어부
  • 승인 2023.01.25 16: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경원 '지지도 10%대' 향방에 관심 촉각
'김기현-안철수' 2파전…다자구도 金 우세
安, 金 오차범위내 경쟁 및 양자대결 우위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국민의힘 당권주자인 김기현 의원과 안철수(오른쪽) 의원이 지난 16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3 부산 출향인사 초청 신년인사회에서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세리머니를 하기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3.01.16. bjko@newsis.com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국민의힘 당권주자인 김기현 의원과 안철수(오른쪽) 의원이 지난 16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3 부산 출향인사 초청 신년인사회에서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세리머니를 하기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3.01.16. bjko@newsis.com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가장 큰 변수였던 나경원 전 의원이 25일 전격적으로 당 대표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김기현-안철수' 2파전으로 굳어지는 양상이다. 나 전 의원을 향했던 당심이 두 의원 중 누구에게 향하는 지에 따라 선거 승패가 달린 것으로 보인다.

25일 여당에 따르면 현재 선거구도 상 나 전 의원 지지표는 '윤심'(尹心·윤석열 대통령 의중)을 등에 업은 김기현 의원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하다. 반면 일부에선 '친윤 득세'에 대한 반발하는 당심이 안 의원에게 옮길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당권 도전을 고심하던 나 전 의원은 25일 오전 11시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당대회 불출마를 전격 선언했다.

이에 나 전 의원에게 향했던 당심이 어디로 이동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나 전 의원은 지난 연말까지 국민의힘 지지층을 대상으로 한 당대표 적합도 여론조사에서 유일하게 30%대로 1위를 기록했던 유력 당권 주자였다.

나 전 의원은 이달 초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직과 외교부 기후환경대사직에서 해임된 후 대통령실과 친윤계의 거센 저항에 부딪히며 '반윤'(反尹) 프레임이 씌워졌다. 지지도는 10%대로 대폭 줄어드는 등 지지층 이탈이 심화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이 YTN 의뢰로 지난 22~23일 전국 18세 이상 2002명 중 국민의힘 지지층 784명에게 당대표로 누가 가장 적합한지를 물은 결과 김기현 의원이 25.4%로 1위를 차지했다. 2위인 안 의원은 22.3%를 기록해 김 의원과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5%포인트) 내 접전을 벌였으며, 나 전 의원은 16.9%로 집계됐다.

사실상 '김기현-안철수 2파전'으로 굳어지는 상황에서 나 전 의원이 확보했던 10%대 지지도는 김기현·안철수 의원 모두 놓칠 수 없는 부분이다.

특히 최근 다자대결 구도에서 2위에 그쳤던 안 의원이 김 의원과의 지지도 격차를 좁히고 있는 데다 양자대결에서 김 의원에게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YTN이 의뢰했던 같은 조사에서 결선투표를 가정해 가상 양자대결을 한 결과 안 의원이 49.8%를 얻어 김 의원(39.4%)을 10.4%포인트차로 따돌렸다.

결선투표 없이 압도적으로 승리하겠다는 김 의원과 결선투표에서 승부를 보겠다는 안 의원 모두 나 전 의원에게 향했던 당심 끌어모으기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여권에서는 나 전 의원을 향했던 당심이 김 의원에게 이동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당내에 윤석열 정부 성공을 위해 친윤계를 중심으로 당이 운영돼야 한다는 암묵적인 합의가 유지되는 이상 김 의원에게 표심이 집중될 것이라는 견해다.

특히 친윤계는 당원들이 지난 2016년 공천 파동 사태가 재연되지 않기를 원하는 것을 알고 윤 대통령과 함께 내년 총선을 승리로 이끌 당대표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공천 파동은 2014년 전당대회에서 친박(親朴) 서청원 전 의원이 아닌 김무성 전 의원이 당대표로 선출된 후 당내 갈등 확대로 2016년 총선에서 패배했던 사태를 말한다.

이처럼 친윤계가 김 의원을 밀어주면서 안 의원을 적극 지지하지 않는 모양새를 계속 유지할 경우 표심은 당 주류가 원하는 대로 김 의원에게 향할 가능성이 크다. 당내 비윤계 세력의 힘이 상대적으로 약한 점도 김 의원의 우세에 힘이 실리는 요소다.

김 의원이 계속해서 우세할 경우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율을 넘겨 결선투표제 없이 당대표가 될 가능성도 나온다.

반면, 안 의원 측은 나 전 의원의 불출마로 당혹감이 감지된다. 정치권에서는 김 의원과 나 전 의원이 난전을 벌일 때 안 의원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는데, 나 전 의원의 불출마로 김 의원과 안 의원 간 힘든 '2파전'이 전개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나 전 의원에게 향했던 '친윤 득세 우려' 당심이 안 의원에게 옮겨갈 갈 경우 결선투표가 이뤄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기현-안철수' 양자대결에서 안 의원이 연일 우위를 기록 중인 점을 고려했을 때 '친윤 일색 지도부'를 견제하려는 표심이 안 의원에게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안 의원 측에서 나 전 의원이 당권 도전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부각하며 표심 모으기에 집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안 의원은 이날 나 전 의원의 불출마 선언 이후 페이스북에 "나 전 의원이 밝힌 낯선 당의 모습에 저도 당황스럽다"며 "출마했다면 당원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주고 전당대회에서 국민 관심도 더 모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여지를 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