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매일 PDF 지면보기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최근 김해종합뉴스
행복1%나눔재단 희망캠페인
함께해요 나눔운동
時도 아닌 것이
행복밥집
TV 방송 영상
커뮤니티
다시보는 부끄러운 김해 현장
김해 '사충신 묘단' 시내로 옮겨와야 한다.
상태바
김해 '사충신 묘단' 시내로 옮겨와야 한다.
  • 경상도 촌놈 조유식
  • 승인 2013.08.26 0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 동상동 산 중턱⇒김해도서관 앞 봉황대 유적지 적합
청소년 충의 정신선양 위해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어야

“이유 불문하고 김해시는 하루속히 사충단을 원래 자리인 시내로 옮겨 와야 합니다.”

김해 사충신은 타 도시에선 보기 드문 의병장들로서 임진왜란(1592) 때 김해성 싸움에서 전사한 의병장 김득기(金得器), 송빈(宋賓), 유식(柳湜), 이대형(李大亨)이다.

조선 선조 25년(1592) 동래성을 함락한 왜적이 병력을 이끌고 김해성을 공격해 오자 당시 김해성의 주장군 이었던 서례원이 김해성을 버리고 달아났다.

이 때문에 김해성이 함락될 위기에 처하게 되자 김득기ㆍ송빈ㆍ유식ㆍ이대형 등 4명의 의병장이 각기 의병들을 이끌고 몰래 성으로 들어가 적들과 죽을힘을 다하여 싸우다 장렬하게 순절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선조 33년(1600) 왕은 이들의 충절을 기리고자 각자의 벼슬을 올려 주었으며 숙종 34년(1708)에 지방 사람들의 도움으로 `송담사`와 `송담서원`을 세워 이들의 위패를 모셔 두었다. 이후 고종 8년(1871)에 묘단(廟壇)을 설치하고 `사충단`이라 이름 짓고 비를 세워두었으며 매년 음력 4월 20일을 제사 일로 정하여 사충신을 추모하는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왜군들에게 성을 빼기지 않기 위해 죽음을 각오하고 싸우다 장렬하게 순절한 4충신을 기리는 사충단이 몰지각한 무뢰배들에 의해 쉽게 찾아 갈 수 없는 높은 산 중턱에 터를 잡아 사충신에 대한 충의 정신을 기리는 시민 선양사업은 고사하고 사충신 자체에 대해 잊혀져가고 있다며 김해를 아끼는 사회단체와 종교단체들이 사충단을 시내로 다시 옮겨와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사충단 이전 범시민운동을 준비하고 있는 지역지도자들은 ‘김해시가 대도시로 성장하면서 인구 또한 급증 하고 있지만 자라나는 자녀들에게 절대 필요한 지역의 역사와 존경받고 본받을 수 있는 역사인물에 대해 발굴과 보존 선양사업에는 너무 소홀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며 ‘나라와 자기 지역 백성을 위해 싸우다 죽음을 당한 의로운 충신과 인물을 기리는 충의 각과 표충사(각) 등이 전국 도시마다 주요 요충지에 건립 문화제시설로 지정 수많은 시민과 수학여행 온 학생, 관광객들이 찾고 있으며 역사유적지로서 관광명소로서 인기가 대단하지만 김해는 그 반대’ 라고 지적했다.

‘지방자치단체마다 앞 다투어 자기 지역을 빛낸 자랑스러운 역사인물 발굴과 함께 상징시설을 확충하여 시민들과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충·효·예 사상을 비롯하여 애향심 고취와 자긍심을 키워주는 정신문화 교육장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김해의 일부 지도자들은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자신들의 상가 주변(동상동 시장/ 연화사 포교당 앞)에 있던 사충단을 저 멀리 도시 외곽 산으로 산으로 밀어 올리는데 의기투합하여 오늘의 사충단이 아무도 오지 않고 쉽게 찾아 갈 수도 없는 외진 이곳에서 쓸쓸하게 방치되고 있다’ 며 개탄했다.

이들은 ‘인구 52만 대도시로 성장한 김해시에는 교육도시답게 120여 개의 초.중.교. 대학 등이 있으며 우리의 아들딸들이 이런 시설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 이들 학생들에게 김해의 자랑인 사충신의 충절정신을 선양시켜 애향심과 자긍심 충·효·예 사상을 배우고 느낄 수 있도록 학생들과 시민들이 언제든지 찾아가 참배하고 임진왜란 당시 김해성 전투상황을 느낄 수 있도록 하루속히 시내 중심지로 이전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전 위치에 대해 ‘현 김해시 봉황동 가야의 거리를 끼고 있는 김해도서관 건너편 봉황대 유적지 주변이 가장 적합하다‘고 했다.

‘이곳으로 이전 복원 공사가 이루어진다면 의령 곽재우 의병장을 기리는 충익사 의병박물관 처럼 임진왜란 당시 김해성 전투장면과 사충신들의 활약상을 기초로 한 벽화 등과 전쟁 장비, 유물들을 전시하여 역사 교육관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또 추진위원들은 ‘사충단이 본래의 자리인 시내로 돌아와 그곳을 중심으로 청소년과 주부, 일반인을 대상하여 사충신 추모백일장, 사충신 추모글짓기, 사충신 추모웅변대회, 사충신 추모문화축제 등의 행사를 수시로 개최하여 의병장 사충신의 나라사랑 백성사랑의 충의정신을 널리 알려야 하고, 김해가 조선 최초 의병 발병지라는 사실도 홍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해 의병장 사충신은 조선시대 선조 25년(1592) 4월 부산에서 김해로 넘어온 왜구들과 전투를 했으며 의령 곽재우 장군은 사충신보다 20여 일 뒤인 1592년 5월 김해를 거쳐 의창, 함안을 점령하고 의령군 낙동강 정암진(鼎巖津:솥바위나루) 도하작전을 전개한 왜병을 맞아 싸워 대승을 거두었다.)

김해 의병장 사충신은 조선 최초 의병장이기도 했다.

사충단을 산으로 산으로 올려 보낸 김해 후손들 참회해야
사충신 추모 문화축제 등 다양한 선양사업 전개해야 한다.

처음에는 동상동 873번지에 있었던 것을 김해의 도시계획으로 동상동 227-6, 228번지로 옮겨 세운 것을 또다시 동상동 161번지 일원에 확장 이전하였으며 매년 음력 4월 20일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위 설명 중 당시 ‘동상동 873번지의 사충단은 874번지 포교당 연화사 앞 담장을 끼고 있었으며 3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도시개발흔적은 없고 사충단 자리에는 당시 대단했던 그 분개인소유의 상가빌딩만 확장 신축되어 우뚝 서 있다.

사실이 이러한데도 김해시는 1990년 10월 문화재청에 사충단이 마치 도시개발에 따라 불가피하게 옮기게 된 것처럼 보고를 하여 지금처럼 왜곡된 설명을 하고 있는 것이다.

김해미래포럼과 BBS김해지회가 거리에서 임의로 김해시 거주 중·고교생 100여 명에게 김해 사충신과 사충단 묘단에 대해 질문을 해본 결과 사충신과 사충단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있는 학생은 단 한 명도 없어 충격을 주었다.

일부 학생들은 사충단에 대해 조금은 알고 있었지만 사충단 묘단의 위치에 대해 답하는 학생은 단 한 명도 없었다.

2년 전 본지에서 사충단에 대해 보도를 하면서 당시 김해 삼계동 모 초등학교 이 모 교사는 학생들에게 지역 문화재를 비롯한 역사인물, 유적지 탐방과 조사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지역역사 바로 알기, 지역 문화재 바로 알기, 지역 역사인물 바로 알기 체험 활동을 시키고 있지만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유인즉, 김해시 자체에서 학생들을 위한 통합된 지역 바로 알기 교육 자료도 없지만, 학부모들이 김해시에 문의를 해보면 지역 문화재 등의 안내가 잘 되지 않고 있으며, 사충단 등 유적지 탐방체험 또한 버스 등 대중 교통수단이 없고 너무 높은 산 중턱에 있어 탐방하기가 힘들어 아예 계획에서부터 제외시키고 있다고 했는데 2년이 지난 지금도 그때와 달라진 것이 하나도 없다.

사충단 출입문들은 철재 비개 파이프로 받쳐 놓았으며 주변은 잡동사니들로 가득했다.
지붕에서는 비가 새 벽면과 마루를 퇴색시켜놓았으며 또 한쪽의 마루 중앙에는 넝쿨 잡초가 터를 잡고 있었다. 그런가 하면 사충신 위패를 모신 묘단 뒤편에는 잡동사니 창고가 돼 있기도 했다.

이곳이 과연 문화재지정 기념물이 맞나 하는 의구심과 김해의 영웅인 사충신에 대한 무관심과 홀대가 너무 심하다는 생각을 했다.

사충단의 소유자인 김해시가 하루라도 빨리 대책을 세워 사충단을 원래 있던 시내로 옮겨와 철저한 관리를 해야 한다.

그리고 사충신에 대한 새로운 조명으로 사충신을 예우하고 그분들의 정신을 후세들이 본받을 수 있도록 선양사업을 대대적으로 펴야 한다는 것이 지역의 여론이다.
 

김해시 동상동 마을 뒷산 중턱에 위치한 사충단(四忠壇)은 경상남도 기념물 제99호로서 (1990.12.20 지정) 면적은 10,617㎡이다. 소재지는 경남 김해시 가야로 405번 안길 22-9(구 동상동 161) 소유자는 김해시이며 관리자는 표충회로 되어있다.

사충단이 이곳 산 중턱으로 올라온 사유에 대해 문화재청 홈페이지와 사충단 주차장 옆 안내문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조선시대 선조 25년(1592) 4월에 일어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지키다 전사한 김득기, 송빈, 유식, 이대형 선생의 공을 기리기 위하여 고종의 명으로 8년 (1871)에 건립한 묘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