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환경운동연합은 김해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경제성 없는 김해시 동북아물류플랫폼 조성 사업 백지화`를 요구하며 기자회견을 열었다.
주요 주장 내용은 1. 조성 위치가 김해평야인데 면적이 줄어든다는 것과 2. 물류단지보다 산업단지가 많다는 것 3. 주거 용지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국토의 균형 개발 등으로 쌀 재배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그에 비해 쌀 생산량은 크게 변화가 없고 소비가 줄면서 재고량은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이다.
또, 산업단지 부지가 물류단지 부지보다 많이 계획되어 있는 것에 대해 "부울경 개별업체들을 금융과 규제 특례 및 세제 혜택 등으로 유치해 난 개발을 해결하고 물류플랫폼과 시너지 효과를 거둔다"는 것이 김해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대규모 단지에 주거 용지는 당연히 포함되어야 하며 환경운동연합에서 주장하는 김해시 부동산 시장과는 무관하며 더욱이 지주들과의 결탁 운운하는 것은 지나친 부정적 상상으로 반대를 위한 반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고 "동북아물류플랫폼 내 주거단지는 부울경 전체지역에서 이주해 오는 산업계와 관련 인원들이 거주해야 할 필수적인 환경이다"고 강조했다.
동북아물류플랫폼은 총 투입비 1조 4,030억 원으로,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결과에 의하면 본 사업이 위치한 경남 지역에 그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김해시는 밝혔다.
경상남도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약 1조 8,704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8,476억 원 취업 유발효과 13,077.3명으로 분석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한 질문에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특별한 반론을 제시하지 못했다.
우리나라 물류산업은 상하이, 홍콩, 싱가포르 등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동북아물류플랫폼은 가덕도 신공항, 부산ㆍ진해 신항만에 인접한 배후도시인 김해시는 도로 및 철도가 연계돼 부울경 경제권 및 SOC 기반 시설의 지리적 중심지로서 사통팔달 교통망으로 접근성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김해시는 트라이포트를 기반으로 한 국가 스마트물류 플랫폼 구축계획에 대비해 동북아시아의 물류 허브 도시로 발돋움하고자 동북아 물류 플랫폼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국토부가 주관하는 동북아물류플랫폼 구축 시범 사업에는 부산ㆍ경남, 대구ㆍ경북, 전북 새만금, 인천 등 4개 권역이 사업 추진 계획을 제출한 상태이다.
김해시 화목동 일원과 부산시 강서구 죽동동 일원에 14㎢(약 850만평) 규모의 물류플랫폼을 조성하고 국제물류단지, 전문인력양성단지, 주거단지, 연구단지 등이 들어설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김해시로서는 김해미래 성장 동력이 될수 있는 이 사업유치로 기존의 물류산업과 차별화되는 고부가가치 복합물류 창출을 통한 동남 경제권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뿐만 아니라 김해시의 가치 상승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인한 시민 삶의 질 향상으로 특별수혜도시가 될 수 있다는 것이 경남도 관계자들의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