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매일 PDF 지면보기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최근 김해종합뉴스
행복1%나눔재단 희망캠페인
함께해요 나눔운동
時도 아닌 것이
행복밥집
TV 방송 영상
커뮤니티
다시보는 부끄러운 김해 현장
성인남자 흡연율 역대 최저 38.1%
상태바
성인남자 흡연율 역대 최저 38.1%
  • 미디어부
  • 승인 2018.11.12 1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간접흡연 노출도 크게 감소

질병관리본부는 11월 12일 코엑스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2017년) 및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18년) 결과발표회'를 개최하여 우리 국민의 주요 만성질환 유병 및 건강행태에 대한 최근 통계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17년) 및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18년)의 주요 결과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흡연 지표는 개선되었으나 음주 수준은 정체되었다.

성인(19세 이상) 남자 흡연율은 2017년 38.1%로 역대 최저이며, 담뱃값이 인상된 2015년(39.4%) 보다 더 감소했다.

또한 간접흡연 노출률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017년 현재비흡연자의 간접흡연노출률: 직장실내 12.7%, 가정실내 4.7%, 공공장소실내 21.1%)

남자 2명 중 1명(52.7%), 여자 4명 중 1명(25.0%)은 월 1회 이상 폭음하였으며, 남자는 2~50대 모두 50% 이상이었고 여자는 20대가 45.9%로 다른 연령에 비해 높았다.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자는 2명 중 1명(남자 50.6%, 여자 46.6%)으로 최근 3년 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하루 에너지 섭취량은 2017년 남자 2,239kcal, 여자 1,639kcal로 매년 비슷한 수준이나, 식사 내용에는 변화가 있었다.

에너지 섭취량 중에 지방이 기여하는 비율은 2005년에 20.3%였으나 2017년 22.5%로 증가하였으며 탄수화물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나트륨 섭취량은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목표섭취량(2,000mg)의 2배 수준이었다.

곡류 섭취량은 감소하였고(2005년 315g→2017년 289g), 육류(2005년 90g→2017년 116g), 음료류(2005년 62g→2017년 207g) 섭취량은 증가하는 등 식품군별 섭취량에도 변화가 있었다.

끼니 중에서는 저녁식사로 섭취하는 비율이 증가했고(2005년 31.7%→2017년 32.9%), 외식(음식업소음식)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2005년 20.9% → 2017년 29.5%)

아침식사로 섭취하는 에너지는 2005년 21.2%에서 2017년 15.9%로 감소하였으며, 아침식사 결식률은 증가하여(2005년 19.9%→2017년 27.6%)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가정식으로 섭취하는 에너지 양은 전체의 38.3%로 여전히 가장 높았지만 2005년 58.6%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고 외식과 일반 및 편의식품(2005년 10.2%→2017년 24.8%) 비중이 증가했다.

비만, 고혈압, 당뇨병 유병률은 이전 연도와 유사하며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를 넘어섰다.

만성질환 유병률(30세 이상)은 비만 35.5%, 고혈압 26.9%, 당뇨병 10.4%, 고콜레스테롤혈증 21.5% 수준이었다.

특히 30대 남자는 비만,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뚜렷한 증가 경향을 보였다.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모두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 등 관리지표가 개선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