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매일 PDF 지면보기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최근 김해종합뉴스
행복1%나눔재단 희망캠페인
함께해요 나눔운동
時도 아닌 것이
행복밥집
TV 방송 영상
커뮤니티
다시보는 부끄러운 김해 현장
대구시, 초고령사회 진입... 고령친화도시 본격 추진
상태바
대구시, 초고령사회 진입... 고령친화도시 본격 추진
  • 조민정 기자
  • 승인 2024.05.20 1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월 말 기준 대구 노인 인구 비율 20.1%로 ‘초고령사회’ 진입
‘고령친화도시 조성’ 본격 추진, 분야별 노인복지사업 고도화

대구광역시가 2024년 4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국제연합(UN)은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고령자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2024년 4월 말 기준 대구광역시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47만 5318명으로 전체 인구 236만 8670명의 20.1%를 차지했다. 2017년 말 노인 인구 비율 14.0%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지 7년도 채 지나지 않은 2024년 4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알린 것이다.

이는 특·광역시 중 부산광역시(23.1%)에 이어 두 번째이며, 17개 광역자치단체 중에는 전라남도(26.5%), 경상북도(25.2%), 강원도(24.5%), 전라북도(24.5%), 부산광역시(23.1%), 충청남도(21.7%), 충청북도(21.3%), 경상남도(21.1%)에 이어 아홉 번째이다.

이에 대구광역시는 급격한 노인 인구 증가와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응해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본격 추진한다.

우선 ‘중장기, 연차별 노인복지종합계획 수립·시행’, ‘노인의 정책 수립 참여’, ‘주기적인 노인실태조사’ 등을 골자로 하는 ‘대구광역시 고령친화도시 구현을 위한 노인복지기본조례’를 10월까지 제정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과 노인복지법 ‘고령친화도시’ 기준을 반영해 대구광역시 고령친화도시 조성 로드맵을 마련하고 구·군의 고령친화도시 지정도 지원할 예정이다.

현재 추진 중인 노인복지사업들은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해 시행한 ‘2023년 대구광역시 노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지역 특성 및 노인의 욕구를 반영해 고도화해 나간다.

노인실태조사에서 조사 대상자가 대구시에서 가장 시급하게 확대돼야 할 노인정책 1, 2위로 응답한 ‘돌봄’(38.7%)과 ‘일자리’(38.3%) 분야는 정부 정책에 따른 재가요양·돌봄 및 재택의료서비스 확대,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확대를 차질 없이 추진하는 한편, 지역특화 노인돌봄서비스 제공 및 내실화, 노인일자리 특성화 사업 다변화 등 수요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베이비붐 세대(1959~1964년생)의 노년기 진입에 따라 정책 수요 변화가 큰 ‘여가활동·사회참여’ 분야는 경로당·노인복지관 등 노인 여가시설을 활성화하고, 관계부서·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하고 질 높은 프로그램 마련과 체계적인 홍보로 어르신 참여를 활성화하고 만족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한, 대구광역시는 시민들이 공감하고 지속 가능한 고령친화도시 모델과 중장기 노인복지정책 마련을 위해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 ‘대구광역시 노인복지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시민 모두가 평생 동안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주요 정책 과제는 자립 기반 조성을 위한 ‘맞춤형 노인일자리 제공’, 지속 거주를 위한 ‘주거·도시·교통환경 개선’과 ‘의료·돌봄 통합지원’, 활기찬 노후를 위한 ‘여가·문화·체육 활성화’와 ‘사회참여 확대’, 존중과 사회통합을 위한 ‘인식개선’과 ‘정보접근성 확대’ 등이다. 전 세대를 포괄하는 정책 마련을 위해 대구광역시는 전문가는 물론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한다는 계획이다.

정의관 대구광역시 보건복지국장은 “고령친화도시는 나이가 들어도 불편함이 없고, 연령대에 상관없이 시민 모두가 평생 활기차게 나이 들어가는 도시를 일컫는다”며, “초고령사회 진입을 계기로 고령친화도시 조성 추진체계를 정비하고 노인복지정책을 고도화해 ‘건강하고 활력있는 고령친화도시 대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