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매일 PDF 지면보기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최근 김해종합뉴스
행복1%나눔재단 희망캠페인
함께해요 나눔운동
時도 아닌 것이
행복밥집
TV 방송 영상
커뮤니티
다시보는 부끄러운 김해 현장
경남 재정위기 극복 위한 채무상환 본격 착수
상태바
경남 재정위기 극복 위한 채무상환 본격 착수
  • 장종석 기자
  • 승인 2013.02.04 13: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7년까지 6천608억 원 감축

경남도는 심각한 재정위기 상황 극복을 위하여 2017년까지 6천608억 원을 감축하여 도 채무를 6천880억 원으로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하는 2013년~2017년 경남도 채무관리 5개년 대책’을 발표했다.

2013년 1월 현재 경남도 채무액은 도 지역개발기금에 대한 차입금 7천908억 원, 공자기금에 대한 차입금 3천080억 원 등 1조 988억 원, 통합관리기금에 대한 차입금 2천억 원, 채무부담행위 500억 원을 포함하여 총 1조 3천488억 원이다.

그간 경남도는 세입은 정체되어 있는데 반해 각종 공약사업 및 대규모 사업 등을 추진함에 따라 채무상환액에 비하여 발행액이 많았던 것이 채무 증가의 원인이 되었다.

2004년부터 2010년까지는 시ㆍ군 지역개발사업 확대(2003년 이전 매년 100억 원→2004년 이후 265 ~ 590억 원) 와 1000+1000 프로젝트(1천800억 원)확대 지향적 재정운용과 거가대교 및 마창대교 건설에 따른 MRG 방식의 운영, 경제자유구역 기반시설 등 SOC사업에 도비 부담이 과중되었고,

2011년 이후에는 통합창원시의 출범과 김해시 인구 50만 초과로 인한 시ㆍ군 재정보전금이 1천억 원 이상 증가하였고 모자이크 프로젝트, 학교 무상급식 지원 등 대규모 신규시책과 복지사업으로 세출예산이 늘어났다.

특히, 2012년 이후 부동산 거래부진과 리스차량 등록감소 등으로 인하여 2011년 대비 2012 ~ 2013년 2년간 약 6천400억 원(매년 3천200억 원 정도)의 세수가 격감된 것이 가장 큰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업을 진행하기 위하여 경남도는 그동안 매년 채무상환액보다 발행액을 더 많은 빚을 내는 빚 갚는 예산편성을 해왔던 것이다.

이에 도는 신설되는 재정점검단을 운영하여 대규모 프로젝트 및 불요불급한 예산에 대하여 강력한 세출구조조정에 나서고, 거가대교 운용방식 변경 등 민자사업 사업구조화에 매진하기로 하고 동시에 공무원 및 도민을 대상으로 ‘예산낭비신고센터’ 운영을 활성화하여 예산 절감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한편, 매년 급증하던 지방채 발행 규모는 점차적으로 축소하는 대신 매년 순세계잉여금의 10 ~3 0%를 채무 조기상환에 활용하고, 특히 김해유통관광단지를 조기에 매각하여 600억 원 정도를 조기상환에 활용할 계획이다.

출자출연기관의 경우 중복유사기관 통폐합 등 구조조정을 통해 예산절감에 나서고, 대형공사의 경우 잦은 설계변경이 예산 증액의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가칭)설계변경심사위원회 구성으로 설계변경 시 철저하게 대상 사업을 검증할 계획이다.

아울러, 부족한 재원 확보를 위해서 지방세 비과세ㆍ감면의 단계별 축소, 은닉재산 탈루 방지 및 국세 지방세 비율 확대 조정건의를 지속적으로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며, 국고예산 대상 사업 선정부터 정부예산 확정 시까지 전략적으로 선제 대응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